
암기 천재가 알려주는 암기하는 방법.txt
- 주저리 주저리/뇌에 대한 이야기
- · 2022. 11. 21.
PyAutoGUI를 이용해 간단하게 스크린샷을 찍고,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지를 추적하여 다양한 행동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하나씩 진행해 보겠습니다. pyautogui.screenshot() import pyautogui im1 = pyautogui.screenshot() #screenshot() 을 호출하면 화면 이미지 객체 (im1)를 반환합니다. im2 = pyautogui.screenshot('screenshot.png') #파일 이름 (‘screenshot.png’)을 입력해주면 화면을 이미지파일로 저장합니다. im3 = pyautogui.screenshot('region.png', region=(0, 0, 300, 300)) #region 위처럼 영역을 설정해주면 x..
[재료 위치 및 보물상자] [직조] 왕초보 논벼 (볏집, 쌀뭉치) 각 성 통로 ※ 조제‘보물상자(1) = 돌창2, 주먹밥3, 숙련도 50(이하 숫자만 표기) 보리 (보리볏짚, 보리쌀뭉치) 각 성 통로 ※ 직조‘보물상자(1) = 돌촉2, 상급새끼줄2, 50 쪽풀 (쪽잎, 쪽꽃) 쥐굴 6굴 초보 황마풀 (황마실, 황마잎, 황마꽃) 백두산 대연지봉, 여우굴 5굴 이상, 대방성 고양이굴, 강서성 염유굴 ※ 직조‘보물상자(2) = 강화슬롯부적2, 경원반지, 150 견습 아마풀 (아마실, 아마잎) 도삭산 184~200층 (191~193층 제외), 자호굴 8굴이상 ※ 직조‘보물상자(3) = 중급아마천2, 상급재료보호부적2, 400 도제 모시풀 (모시실, 모시풀잎) 백두산 대각봉 6~10굴, 사마귀굴 6굴 이상, 전갈..
재료채집 쑥, 인진쑥 백두산 대각봉 1~5굴, 돼지굴(입구, 1~3굴) 독버섯,맹독버섯 대방성 고양이굴, 백두산 대연지봉, 여우굴 1~5굴 더덕, 더덕잎 자호굴 1~7굴 표고버섯 돼지굴 당귀, 당귀잎 사마귀굴 3~5굴, 게장군굴, 전갈굴 6~8굴 송이버섯 백두산 청석봉, 낙양성 악어굴 작약, 작약잎 고균도 폐허동굴, 고균도 열대림, 고균도 절벽, 고균도-가릉도 해변가 어린인삼,어린인삼잎 인형굴 4~7굴 영지버섯 대방 / 낙양 / 현도성 살쾡이굴 1~5굴, 광동성 천리마굴 1~5굴 부여 도깨비굴 1~2굴(나머지 입구~1굴) 산인삼, 산인삼잎 부여성 도깨비굴 3~5굴(나머지 2~5굴), 국내성 도깨비굴 6~7(나머지 5~6굴) 산양삼,산양삼잎 백두산 망천후, 일본 숲지대 산장뇌삼,산장뇌삼잎 현도성 후굴 1~..
자료 : 현실 세계로부터 단순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가공(처리)되지 않은 값이나 사실 정보 : 자료를 처리해서 의사결정에 필요한 형태로 가공한 결과물로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값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통합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운영 데이터 공용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실시간 접근성 내용에 의한 참조 동시 공유 계속적 변화 DBMS의 필수 기능 정의 기능 조작 기능 제어 기능 스키마 외부 스키마 : 사용자 접근 측면 기술(전체 중 일부 기술)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 기술 개념 스키마 : 논리적인 측면(DB전체 기술) 사용자 단말 사용자 : 정의어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접근 응용 프로그래머 :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데이터에 접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DBA :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