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고양이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회색고양이

    • 심플하게 살자 (173)
      • 주식 (87)
        • 주식 동향 (47)
        • 마감 후 (28)
        • 세계증시일정 (6)
        • 주식지식 (3)
      • Programming (56)
        • Python (25)
        • Android (2)
        • Android 보조 (2)
        • AutoHotkey (26)
        • R (1)
      • Network (4)
      • Server (4)
        • Linux (4)
        • WinServer 2008 (0)
      • Database (1)
        • mysql (1)
      • 주저리 주저리 (7)
        • 뇌에 대한 이야기 (5)
        • 주저리 (1)
        • 티스토리 (1)
      • 게임 (12)
        • 바람의나라 (12)
      • 자격증 (1)
        • 정보처리산업기사 (1)
      • 영상 (1)
        • 파워디렉터 (1)
  • mode_edit_outline글작성
  • settings환경설정
  • 홈페이지
  • 글쓰기
  • 설정

[Python] 기초2-1. 자료형 이해(문자형)

문자열(string)이란 문자나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abc" "123" 위의 예문들이 쌍따옴표(")로 둘러싸여 있는데, ‘123은 숫자인데 왜 문자열이지?’하는 의문이 들수 있습니다만, (')나 (")로 둘러싸여 있으면 모두 문자열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문자열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위에서는 문자열을 만들 때 큰따옴표만 사용했지만, 이 밖에도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3가지가 더 있습니다. 즉,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1.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Hello World" 2.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Python is fun' 3. 큰따옴..

  • format_list_bulleted Programming/Python
  • · 2023. 6. 23.
  • textsms

[Python] 기초1. 자료형 이해(숫자형)

숫자형(Number)은 숫자의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보편적으로 123과 같은 정수, 12.34와 같은 실수, 8진수나 16진수 등이 있습니다. 다음 표는 파이썬에서 숫자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간략하게 보여 줍니다. 항목 파이썬 사용 예 정수 123, 0, -345 실수 123.45, -1234.5 8진수 0o34, 0o25 16진수 0x2A, 0xFF 이제 이런 숫자를 파이썬에서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부터는 cmd에서 python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 정수형(integer)이란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합니다. 다음은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 숫자 0을 변수 a에 대입하는 예입니다. >>> a = 123 >>> a = -178 >>> a ..

  • format_list_bulleted Programming/Python
  • · 2023. 6. 21.
  • textsms

[PYTHON] There was an error checking the latest version of pip

pip을 사용중에 There was an error checking the latest version of pip 이러한 워링이 뜬다면 CMD에서 다음 코드를 통해 pip을 업그레이드 하면된다. python -m pip install --upgrade pip

  • format_list_bulleted Programming/Python
  • · 2023. 6. 5.
  • textsms

[Python] PyAutoGUI로 이미지 다루기

PyAutoGUI를 이용해 간단하게 스크린샷을 찍고,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지를 추적하여 다양한 행동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하나씩 진행해 보겠습니다. pyautogui.screenshot() import pyautogui im1 = pyautogui.screenshot() #screenshot() 을 호출하면 화면 이미지 객체 (im1)를 반환합니다. im2 = pyautogui.screenshot('screenshot.png') #파일 이름 (‘screenshot.png’)을 입력해주면 화면을 이미지파일로 저장합니다. im3 = pyautogui.screenshot('region.png', region=(0, 0, 300, 300)) #region 위처럼 영역을 설정해주면 x..

  • format_list_bulleted Programming/Python
  • · 2023. 6. 2.
  • textsms

[AutoHotkey] RegExMatch (정규식)

RegExMatch 는 정규식이라 불리는 파싱 명령어입니다. 정규식은 모습이 되게 어려워 보여요. 그래도 쓰는 이유가 무엇이냐면 더 간편하게 파싱을 하기 위해서이죠. StringGetPos 와 같이 쓰이는 파싱 명령어는 정규식 한 줄로 될걸 7~8 줄 이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정규식을 쓰는 거예요. 일단 함수 원형은 이렇습니다. 찾은 위치 := RegExMatch(문자열,찾을문자열[,변수 = "",시작할위치 = 1]) [] 안의 내용은 생략 가능합니다. 일단 정규식 옵션부터 알아야 돼요. 그래야 정규식을 쓰죠. 대충 필요한 것만 알면 돼요. .* (.*) ? i) \C $ \d \w [0-9] + . [A-Z] [a-z] 이런 거요. 밑에 요약 처리해놓은 것은 보셔야 정규식 할 수가 있을 ..

  • format_list_bulleted Programming/AutoHotkey
  • · 2022. 5. 1.
  • textsms
  • 1
  • 2
  • 3
  • 4
  • 5
  • 6
  • 7
  • ···
  • 12
공지사항
카테고리
  • 심플하게 살자 (173)
    • 주식 (87)
      • 주식 동향 (47)
      • 마감 후 (28)
      • 세계증시일정 (6)
      • 주식지식 (3)
    • Programming (56)
      • Python (25)
      • Android (2)
      • Android 보조 (2)
      • AutoHotkey (26)
      • R (1)
    • Network (4)
    • Server (4)
      • Linux (4)
      • WinServer 2008 (0)
    • Database (1)
      • mysql (1)
    • 주저리 주저리 (7)
      • 뇌에 대한 이야기 (5)
      • 주저리 (1)
      • 티스토리 (1)
    • 게임 (12)
      • 바람의나라 (12)
    • 자격증 (1)
      • 정보처리산업기사 (1)
    • 영상 (1)
      • 파워디렉터 (1)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바람의나라
  • #대원제약
  • #python
  • #화성산업
  • #셀트리온
  • #삼부토건
  • #주식
  • #생산
  • #autohotkey
  • #일동제약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